골목길
흰여울길은 마을의 앞마당이자 버스가 다니는 절영로가 생기기 전까지 영도다리 쪽에서 태종대로 가는 유일한 길이었습니다.절영로에서 흰여울길 사이에는 세로로 14개의 골목이 나있습니다. 전체로 보면 여러 갈래의 샛길들이 미로처럼 얽혀있습니다.미로와 샛길이 많다는 것은 피란민들이 지내는 삶의 공간이 그만큼 힘들고 험난했음을 말해줍니다.
골목길
흰여울길은 마을의 앞마당이자 버스가 다니는 절영로가 생기기 전까지 영도다리 쪽에서 태종대로 가는 유일한 길이었습니다.절영로에서 흰여울길 사이에는 세로로 14개의 골목이 나있습니다. 전체로 보면 여러 갈래의 샛길들이 미로처럼 얽혀있습니다.미로와 샛길이 많다는 것은 피란민들이 지내는 삶의 공간이 그만큼 힘들고 험난했음을 말해줍니다.
절영해안산책로
부산 전역에 조성된 갈맷길(총 길이 263km)의 3-3구간으로 영도지역 구간입니다. 남항 외항을 끼고 태종대까지 해안길과 산길로 이어져있습니다. 흰여울길과 절영해안산책로 사이에는 모두 5개의 층층계단이 형성되어있습니다.
맏머리계단
흰여울마을의 들머리에 있는 200m 높이의 계단입니다. 계단 중간쯤에 주민들이 이용하던 맏머리샘이 있었다고 합니다.
꼬막집계단
마을의 중간쯤에 위치한 폭이 좁은 계단입니다. 이 계단을 오르면 생전에 금술이 좋았던 키 작은 할매 할배의 꼬막집을 만납니다.
도돌이계단
이송도 전망대에서 피아노계단 반대편 중리 해변 쪽으로 내려가는 돌계단입니다.
무지개계단
마을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흰여울마을에 무지개가 피어나기를 소망하는 염원이 담겨 있습니다. 크레파스같은 계단을 오르면 영화 변호인 촬영지가 나옵니다.
꼬막집과 대야
흰여울문화마을에는 꼬막을 닮은 작은 집들이 많습니다. 피란민들이 하나 둘 모여들면서 지어올린 하꼬방이 집이 된 까닭입니다. 집 앞 골목에는 작은 텃밭들이 있습니다. 고무대야와 플라스틱 다라이 속에 푸성귀가 자랍니다. 씨 뿌릴 땅 하나 없이 모두 집터가 되어버린 흰여울길의 이색적인 모습입니다.
피아노계단
1990년대 말 절영해안산책로 개설 때 만들어진 피아노계단은 이송도 전망대와 맞닿아있습니다.
흰여울 프로포즈계단
계단위의 발자국 표시에 무릎을 꿇고 꽃다발을 쥔 듯이 각도를 맞춰 잡고 프로포즈하는 샷을 연출해보세요. 재미있는 포즈로 가족이나 연인, 친구에게 고백할 수 있는 로맨틱한 계단이랍니다.